알뜰폰 사용자라면 한 번쯤 ‘남는 데이터를 태블릿이나 서브폰에서도 쓸 수 없을까?’라는 고민을 해보셨을 거예요. 실제로 가능할까요?
저는 얼마 전 태블릿을 새로 장만했어요. 문제는 와이파이 환경이 아닌 외부에서도 사용하려다 보니 데이터 쉐어링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죠. 메인폰은 알뜰폰 회선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쉐어링이 되긴 하나?’ 싶어서 직접 조사하고 적용해봤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조건만 맞는다면 알뜰폰에서도 데이터 쉐어링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쉐어링과 테더링의 차이, 그리고 통신사별 실제 개통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목차
데이터 쉐어링과 테더링의 차이
데이터 쉐어링은 말 그대로 하나의 회선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서도 나눠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태블릿, 워치, 서브폰 등에서 메인폰의 데이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죠.
항목 | 데이터 쉐어링 | 테더링 |
---|---|---|
연결 방식 | 유심으로 직접 연결 | Wi-Fi 핫스팟으로 연결 |
배터리 소모 | 낮음 | 높음 |
사용 거리 | 멀리 있어도 가능 | 가까이 있어야 가능 |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지원 통신사 및 조건
데이터 쉐어링 기능은 모든 알뜰폰에서 되는 건 아니며, 일부 통신망과 요금제에 한해 가능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어떤 망을 사용하는지인데요, 아래처럼 구분됩니다.
- KT망 알뜰폰: 일부 사업자에서 데이터 쉐어링 회선 지원 (예: KT M모바일)
- LG U+망 알뜰폰: 대리점 방문 시 데이터 쉐어링 회선 개통 가능
- SKT망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지원 불가 (SKT 자체 부가서비스만 가능)
KT망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개통 방법
- KT M모바일 유심을 사서 쉐어링할 기기에 장착
- 기존 회선과 같은 명의여야 개통 가능
- 홈페이지에서 셀프 개통 선택 후 쉐어링 회선 등록
- 개통 완료 후 2~3번 재부팅하여 LTE 연결 확인
KT는 1회선만 데이터 쉐어링이 가능하며, 태블릿이나 여분의 스마트폰에 사용할 수 있어요. 단, 통화나 문자 기능은 제한됩니다.
LG U+망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개통 방법
- 직영점 또는 유플러스 대리점 방문
- 쉐어링 등록할 단말기와 유심 지참
- 최대 2대까지 무료 등록 가능 (단 워치는 1대만 가능)
3대 이상부터는 유료이며, 추가로 월 7,700원 요금이 발생합니다. 신청 전에 꼭 고객센터에서 사용 가능 기기 및 요금제를 미리 확인하세요.
LG U+(유플러스망) 알뜰 통신사 KB Liiv m의 데이터 쉐어링 방법
주의사항 및 실패하지 않는 팁
- KT와 LG U+망이라도 모든 요금제가 지원되는 건 아니므로 고객센터 문의 필수
- 태블릿이나 워치 등 데이터 단말기는 통화 기능이 없으므로 용도에 맞게 준비
- 개통 시 명의 일치 여부 중요 – 가족 명의일 경우 개통 불가할 수 있음
데이터 쉐어링 기능은 Wi-Fi 없는 상황에서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알뜰폰 사용자라고 포기하지 마세요. 지원 통신망과 요금제만 잘 확인하면, 얼마든지 똑똑하게 데이터를 나눠 쓸 수 있답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브리스타일 이미지 만들기 정말 쉬워요 (3) | 2025.04.03 |
---|---|
심카드 인식 안 될 때, 재부팅 없이 해결하는 방법(유심칩) (0) | 2025.04.02 |
ChatGPT로 만드는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쳇지피티 그림 그리기) (3) | 2025.04.01 |
알뜰폰 신규가입 vs 번호이동, 뭐가 다를까? (2) | 2025.03.31 |
알뜰폰 업체가 폐업하면 내 전화번호는 어떻게 될까? (0) | 2025.03.31 |
댓글